옛날에 한 스님이 무더운 날 탁발로 얻은 쌀을 짊어지고 가다 큰 나무 그늘에서 쉬고 있는데
때마침 농부 한 사람이 소로 논을 갈다가 그 나무 그늘에서 함께 쉬게 되었습니다.
논을 갈던 농부는 곧 모를 내야 할 텐데 비가 안 와서 큰일이네요.
봄 내내 날이 이렇게 가물어 정말 큰 일입니다.
농부가 날씨 걱정을 하자 스님은 입고 있던 장삼을 여기저기 만져보더니 이렇게 말했습니다.
오늘 해지기 전에 비가 내릴 겁니다.
그러나 농부는 그 말을 믿으려 하지 않았습니다.
에이, 스님 농담도 잘하시는군요.
아, 이렇게 햇볕이 쨍쨍한 날 무슨 비가 온단 말입니까?
두고 보시지요. 틀림없이 곧 비가 올 겁니다.
그럼 어디 내기를 합시다.
스님 말씀대로 해지기 전에 비가 오면 저 소를 드리지요.
농부는 비와 관련된 농사일에 오랜 경험이 있는지라 날씨를 자신하며 소를 걸고 내기를 제안했습니다.
보물같이 귀중한 소까지 걸었으니 그만큼 자신이 있다는 뜻이었습니다.
소승은 가진 게 이 쌀밖에 없으니 지면 이 자루에 든 쌀을 모두 드리겠습니다.
스님도 스님대로 자신을 가지며 온종일 탁발한 쌀을 모두 내놓겠다고 나섰습니다.
그런데 잠시 후 갑자기 마른하늘에 천둥이 쳤습니다.
곧이어 시커먼 비구름이 눈 깜짝할 사이에 다가오더니 곧 장대 같은 빗줄기가 마구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스님, 참으로 용하십니다.
갑자기 비가 올 걸 어떻게 아셨습니까?
소승이 입고 있던 옷을 만져보고 알았지요.
예? 옷을 만져보고 어떻게 알지요?
소승의 옷이 눅눅해지는 걸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공기 속에 물기가 많다는 증거이므로 곧 비가 오리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아, 그런 이치가 숨어 있었군요.
저는 그것도 모르고 그 동안 경험과 오늘 햇빛만 보고 큰소리를 쳤는데 지고 말았습니다.
약속대로 소를 드리겠습니다.
스님은 껄껄 웃으면서 소고삐를 다시 농부에게 넘겨주며 말했습니다.
소승에게 이 소는 아무 소용이 없지만 농부님에게는 중요하지 않습니까?
농부는 겸연쩍게 다시 소를 끌고 가서 논을 갈았습니다.
스님과 농부가 소를 걸고 날씨 맞추기 내기를 걸어 ‘소내기’였는데 이 말이 변형되어 '소나기'가 되었다고 한다.
■ 소나기’의 어원은 ‘쇠나기’의 어원을 밝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쇠나기’는 ‘쇠’와 ‘나기’로 분석하여 이해할 수 있다. ‘쇠’는 ‘매우, 심히’라는 뜻의 부사이다. ‘쇠’는 지금은 쓰이지 않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쓰이던 말이다. ‘나기’는 ‘出(출)’의 의미를 갖는 동사 ‘나-’에 접미사 ‘-기’가 결합된 어형이다. 이렇게 보면 ‘쇠나기’는 ‘심히 내리는 것’이라는 어원적 의미를 갖는다. ‘쇠나기’의 ‘쇠’와 부사 ‘쇠(몹시)’의 성조(聲調)가 평성(平聲)으로 같다는 점, 그리고 ‘소나기’가 ‘급하고 세게 내리는 비’ 곧 ‘급우(急雨)’라는 점이 이와 같은 어원적 의미를 뒷받침한다.
출처 : 위키 백과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의 기와 지붕에 꼭 있는 잡상과 유래 (0) | 2025.06.09 |
---|---|
대한민국의 한강의 기적 (0)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