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에 한 스님이 무더운 날 탁발로 얻은 쌀을 짊어지고 가다 큰 나무 그늘에서 쉬고 있는데

때마침 농부 한 사람이 소로 논을 갈다가 그 나무 그늘에서 함께 쉬게 되었습니다.

 

논을 갈던 농부는 곧 모를 내야 할 텐데 비가 안 와서 큰일이네요.

봄 내내 날이 이렇게 가물어 정말 큰 일입니다.

 

농부가 날씨 걱정을 하자 스님은 입고 있던 장삼을 여기저기 만져보더니 이렇게 말했습니다.

오늘 해지기 전에 비가 내릴 겁니다.

그러나 농부는 그 말을 믿으려 하지 않았습니다.

에이, 스님 농담도 잘하시는군요.

 

, 이렇게 햇볕이 쨍쨍한 날 무슨 비가 온단 말입니까?

두고 보시지요. 틀림없이 곧 비가 올 겁니다.

 

그럼 어디 내기를 합시다.

스님 말씀대로 해지기 전에 비가 오면 저 소를 드리지요.

 

농부는 비와 관련된 농사일에 오랜 경험이 있는지라 날씨를 자신하며 소를 걸고 내기를 제안했습니다.

보물같이 귀중한 소까지 걸었으니 그만큼 자신이 있다는 뜻이었습니다.

 

소승은 가진 게 이 쌀밖에 없으니 지면 이 자루에 든 쌀을 모두 드리겠습니다.

스님도 스님대로 자신을 가지며 온종일 탁발한 쌀을 모두 내놓겠다고 나섰습니다.

 

그런데 잠시 후 갑자기 마른하늘에 천둥이 쳤습니다.

곧이어 시커먼 비구름이 눈 깜짝할 사이에 다가오더니 곧 장대 같은 빗줄기가 마구 쏟아지기 시작했습니다.

 

스님, 참으로 용하십니다.

 

갑자기 비가 올 걸 어떻게 아셨습니까?

소승이 입고 있던 옷을 만져보고 알았지요.

 

? 옷을 만져보고 어떻게 알지요?

소승의 옷이 눅눅해지는 걸 보고 알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공기 속에 물기가 많다는 증거이므로 곧 비가 오리라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 그런 이치가 숨어 있었군요.

저는 그것도 모르고 그 동안 경험과 오늘 햇빛만 보고 큰소리를 쳤는데 지고 말았습니다.

약속대로 소를 드리겠습니다.

 

스님은 껄껄 웃으면서 소고삐를 다시 농부에게 넘겨주며 말했습니다.

소승에게 이 소는 아무 소용이 없지만 농부님에게는 중요하지 않습니까?

농부는 겸연쩍게 다시 소를 끌고 가서 논을 갈았습니다.

 

스님과 농부가 소를 걸고 날씨 맞추기 내기를 걸어 소내기였는데 이 말이 변형되어 '소나기'가 되었다고 한다.

 

 소나기의 어원은 쇠나기의 어원을 밝히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쇠나기  나기로 분석하여 이해할 수 있다. ‘ 매우, 심히라는 뜻의 부사이다. ‘는 지금은 쓰이지 않지만 중세 국어에서는 쓰이던 말이다. ‘나기 ()’의 의미를 갖는 동사 에 접미사 가 결합된 어형이다. 이렇게 보면 쇠나기 심히 내리는 것이라는 어원적 의미를 갖는다. ‘쇠나기 와 부사 (몹시)’의 성조(聲調)가 평성(平聲)으로 같다는 점, 그리고 소나기 급하고 세게 내리는 비  급우(急雨)’라는 점이 이와 같은 어원적 의미를 뒷받침한다.

 

출처 : 위키 백과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의 기와 지붕에 꼭 있는 잡상과 유래  (0) 2025.06.09
대한민국의 한강의 기적  (0) 2025.06.08

 
 
퍼왔습니다. 우리가 보통 이사할 때 '손 없는 날'에 이사를 해야 한다는 미신이 있죠.
 
그만큼 옛 조선시대에는 손이라는 귀신을 액운으로 여겼습니다.
 
경복궁, 창덕궁, 덕수궁, 광화문 등 기와 지붕 끝에 꼭 있는 잡상이라는 장식물은
 
이 손을 물리쳐줄 것이라고 여겨 만들어 올려왔습니다.
 
궁 나들이 가실 때 생각해보며 보시면 더 감회가 깊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제6기 문화재청 블로그 기자단 임수진입니다.

 

벌써 이른 더위가 찾아오는, 5의 마지막주입니다.
많은 분들이 나들이 계획을 세우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날씨가 점점 따뜻해지면서 나들이삼아 궁을 찾으시는 분들도 많아지실 텐데요.

 

모든 궁에는 공통적인 장식물이 존재한다는 사실, 알고계신가요?
 

 

 

 
차례대로 창덕궁 입구인 돈화문, 덕수궁 입구인 대한문, 경복궁 입구인 광화문입니다.

 

각 입구 문들의 웅장한 기와마루가 눈에 들어오는데, 제가 앞서 말씀드린 각각의 공통적인 장식물이 무엇인지 아시겠어요?

 
 

 
 
눈치 채셨나요?
네! 그것은 바로 잡상(雜像)입니다.
잡상은 장식기와의 종류의 하나로, 기와지붕의 추녀마루 위에 있는 흙 인형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오늘은 유심히 살펴보지 않으면 잊어버릴 수도 있는,  잡상에 대해서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볼까요?
 
 

 
 
가장 먼저 잡상의 유래와 용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정확하게 언제부터 잡상이 나타난 것인지는 고분벽화에도 잡상이 그려져 있는 건물상은 아직 발견되지 않았고 삼국시대와 고려 이전의 궁전건물이 남아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잡상은 중국 송나라에서 전래되었으며, 본격적으로 성행한 조선시대부터 설치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잡상은 당시 나무로 지은 목조 건물의 화재를 예방하고 액을 막아주는 주술적 용도로 사용되었습니다.
 
옛 문헌 속에서 잡상을 찾아보면,
≪조선도교사≫에서 궁궐의 전각과 문루의 추녀마루 위에 놓은 10신상(神像)을 일러 잡상이라 하는데 이는 소설 ≪서유기≫에 나오는 인물 및 토신(土神)을 형상화하여 벌여놓아 살을 막기 위함이라고 전해집니다.
 
 

 
 
다음으로는 잡상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잡상은 3마리에서부터 11마리까지 3, 5, 7, 11의 홀수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와마루의 길이에 따라 배치된 잡상의 수가 늘거나 줄어들기도 합니다.
잡상의 모양은 비슷하지만 건물의 규모에 따라 수는 다르게 나타나며,
 
일치되는 것은 맨 앞자리의 대당사부(삼장법사)와 손행자(손오공), 저팔계입니다.
 
 

 
 
『상와도』라는 책에서는 추녀마루 끝에서부터 잡상을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① 대당사부大唐師父 (서유기의 ‘삼장법사’로 사람의 얼굴 모습으로 삿갓을 쓴 형상)
② 손행자(孫行者, 손오공)
③ 저팔계(猪八戒)
④ 사화상(獅畵像, 사오정)
⑤ 이귀박(二鬼朴, 허리의 앞과 뒤에 뿔이 난 짐승의 형상)
⑥ 이구룡(二口龍, 입과 귀가 두 개인 형상)
⑦ 마화상(馬畵像, 말의 형상)
⑧ 삼살보살(三殺菩薩, 모든 재앙을 막아주는 잡상)
⑨ 천산갑(穿山甲,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된 포유동물의 일종 머리 뒤통수에 뿔과 울퉁불퉁한 등을 한 형상)
 
⑩ 나토두(羅土頭, ‘나티’의 다른 표기, 짐승같이 생긴 귀신으로 용 또는 검붉은 곰의 형상)
 
 

 
 
마지막으로는 실제로 궁에서 잡상의 예시를 통해 잡상을 더 완벽하게 익혀보겠습니다.
 
 

↑ 위 사진은 창경궁 돈화문의 기와지붕의 추녀 마루 위에 있는 잡상을 확대한 모습입니다.

 
 
7개의 홀수로 자리잡은 잡상이 눈에 들어오시나요?
위에서 잡상의 종류를 익힌 대로 살펴보면,
첫 번째 삼장법사, 두 번째 손오공, 세 번째 저팔계, 네 번째 사오정의 모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궁에서 잡상을 찾아보면, 각 궁의 기와지붕의 추녀마루에 있는 잡상의 종류는 다양하며 그 수 또한 다릅니다.
숭례문은 9개, 창경궁 홍화문은 5개, 창덕궁 돈화문은 7개, 수원 팔달문은 4개, 창덕궁 인정전의 9개,
 
경복궁 경회루는 11개, 경복궁 동십자각은 5개, 덕수궁 중화전은 10개의 잡상이 존재합니다.
 
 

 
 
궁 나들이 한 번쯤 생각하고 계시죠?
궁 나들이를 통해 실제로 잡상을 접해보시길 바랍니다.
 
 
 
▲제6기 문화재청 대학생 블로그기자단 임수진 기자(smjh1595@hanmail.net)
 
 
<참고문헌>
문화재청 월간 문화재 사랑 이것이 궁금하다, 아하! 그렇구나 (2006.04.03)
문화재청 월간 문화재 사랑 궁궐 건축의 잡상 (2009.04.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잡상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기의 유래 - 스님과 농부  (0) 2025.06.29
대한민국의 한강의 기적  (0) 2025.06.08

https://youtu.be/n6WaTObHRJM?si=4ql3cGhEfbXhW0Rb

 

 

*태극기 사진과 애국심을 유발하는 글을 썼다고 해서 제가 특정한 정치 성향을 보이는 것은 아닙니다. 그냥 흥미거리로만 봐주세요.

 

 

 

 

북한이 폭격한 다리를 건너시고

 

군인은 전장으로

국민들은 피난길로

 

 

상투적으로 들리겠지만 우리나라는 일본으로부터의 해방 이후

 

6.25전쟁이라는 고통을 겪어야 했고

 

전쟁은 끝나지 않았으며 아직도 데프콘 4단계를 유지 중이다.

 

 

해방과 전쟁 이후에도 위와 같은 어려움들이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강의 기적을 보여주는데

 

도움을 받던 나라에서

 

도움을 주는 나라는 우리나라가

 

최초이자 유일하다고 한다.

 

 

 

2022년 기준 국민총생산량은 13위

 

 

 

국력, 군사력 모두 각 6위

 

 

잿더미만 남은 국토에선 그 어떤 자원도, 제대로 살 집도 없을 정도로 통계조차 잡지 못하였다.

 

그런 국가에서 잘살 길은 교육을 통해 사람을 키우는 것이었다.

 

사람을 자원으로 삼는 인적자원을 만드는 것이 돌파구였다.

 

독일로 광부, 간호사를 보내고 사우디로 개발역군을 보내고, 치열한 교육열로 외화를 벌고 사람을 키워내는데 성공

 

어느 UN군 출신 할아버지께서 한국의 마천루를 보시고

옛날의 한국은 평평했으며

마치 불사조와 같다고 눈물을 흘리셨다.

 

물론, 기적과 자유는 그냥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자유는 공짜가 아니다.

-Korean War Veterans Memorial에서

 

 

 

 

앞으로도 많은 기적을 일궈내기를...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나기의 유래 - 스님과 농부  (0) 2025.06.29
궁의 기와 지붕에 꼭 있는 잡상과 유래  (0) 2025.06.09

+ Recent posts